적립식 포인트 유효기간 연장 알아보기 I 2025년
열심히 적립한 포인트를 쓰려다 어느새 유효기간이 끝나서 못쓴 경험이 있으신가요?
적립식 포인트는 우리가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쌓이는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특별한 약속을 통해 생기는 점수와도 같습니다. 그렇기에 쌍방간의 인정되는 채권이며, 소비자의 재산권이기도 한데요.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2024년도에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간담회를 열어 유효기간을 늘이고, 소멸시점에 대한 사전 고지도 강화하며 관련 정책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브랜드의 유효기간이 얼마나 늘어났는지 확인하여 소중히 쌓은 포인트가 0점으로 소멸되기 전에 빨리 사용하시기를 바랄게요.
주요 사용처 및 유효기간 연장

· (포인트명) CJ ONE: 2년 → 3년 (+1년 연장)
- 주요 사용처: 올리브영, CGV, 빕스, 계절밥상, 네네치킨, 뚜레쥬르, 메가커피, CJ Onstyle온스타일, 오픽(OPic)
· (포인트명) 신세계 포인트: 2년 → 3년 (+1년 연장)
- 주요 사용처: 이마트, 이마트 에브리데이, 노브랜드, 이마트24, 스타벅스, G마켓, SSG닷컴 등
· (포인트명) 마이홈플러스: 2년 → 3년 (+1년 연장)
- 주요 사용처: 홈플러스,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 (포인트명) 다이소 멤버십: 2년 → 3년 (+1년 연장)
- 주요 사용처: 다이소
· (포인트명) CU 멤버십: 3년 → 5년 (+2년 연장)
- 주요 사용처: CU 편의점
· (포인트명) SSG MONEY: 1년 → 2년 (+1년 연장)
- 주요 사용처: SSG닷컴
· (포인트명) 삼성패션 멤버십: 1년 → 5년 (+4년 연장)
- 주요 사용처: 에잇세컨즈
소멸 시점 사전 고지 알림 방식 변동
· 소멸 고지 방식
(기존) 이메일 고지 방식에서 → (개선 된 후) 이메일과 카카오 알림톡, 앱 푸시 등으로 다양화 되었습니다.
· 소멸 고지 시점
(기존) 종전·소멸일로부터 15일 전에 1회 알렸던 방식에서 → (개선 된 후) 종전·소멸일로부터 2달, 1달, 3일 전으로 나누어서 총 3회 알림으로 고지 시점이 변경되었습니다.

참고하세요
· 방문하시는 여러분의 ♥공감 하나가 저에게는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 위 정보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기사(http://www.korea.kr)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